자유게시판

내가 통보 서비스 안쓰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매너만듦사람
작성일

본문

일상에서도 보험에 드는 사람이 있고 보험에 드는 사람들 중에서도 실비 손해 연금 종합보험 등등 자기 형편과 목적에 맞게 쓰는 사람이 있듯이

내가 통보를 하지 않는 이유 또한 개인적인 이유이다. 


1. 격추율이 사실 그렇게 높지 않다.

일단 격추글이 종종 올라오는데 적지 않은 직구 경험상 격추를 당해본 경우는 정말 손에 꼽을 정도이다. 

비행기 사고를 예로 들어 보겠다. 

비행기 사고로 죽을 확률(0.000034%)이 자동차사고로 죽을 확률(0.03%)보다 훨씬 낮다고 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왜 비행기를 자동차보다 더 겁낼까? 이는 블랙스완 효과라고도 하는데 극히 예외적인 상황이지만 겪게 되면 큰 충격을 받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격추도 똑같다. 내가 직구하는 품목이 격추가 잘 안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보통 신발류(주로 운동화, 가끔 스니커즈)와 의류 위주로 구매를 하며 가끔 가방류도 구매한다.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직구해본 횟수는 지금까지 대략 60번까지는 안되는거같다. 격추가 된 적은 2번 있다. 

한번은 명품 양말을 직접쓰기도 하고 선물도 주려고 50족정도 구매 했는데 걸린적이 있었고, 한번은 티셔츠 1개 주문 했는데 격추된적이 있었다. 

알아보니 양말이건 뭐건 비슷한 품목의 수량이 너무 많으면 지재권 때문만이 아니라 상업용도의 수입으로 규정해서 잡힌거였으므로 이건 완전한 내 실수였고, 실제로 지재권으로 격추된 건은 60건중에 달랑 1건이므로 확률로 따지면 1.7%밖에 되지 않는다. 

다만, 특정 브랜드 제품의 경우 자주 타겟이 된다고 하니(샤땡) 이 브랜드는 예외로 하겠다. 

주변에 친구들도 보면 개인차는 있지만 실제로 이야기 해가며 수치화를 해보니 3% 미만이었다. 


2. 비싼 통보 요금 대비 낮은 보상율

업체마다 다르겠지만 통보 비용을 산정할 때 보통 제품가의 20~30%까지 받는다고 들었다.

1000위안짜리 제품을 통보로 구매하게 되면 

[원가 1000위안 + (구매대행비 10~15% 약 100~150위안) + 배송료 150위안 + 보험료 200위안 ] + 환전수수료 약 5% = 총액 약 1500~1700위안 

보험료는 대략 200~300위안인 것에 비해서 만약 실제로 격추가 되면 얼마를 보상 받을 수 있을까? 

친구가 경험해본 통보 서비스는 완전한 통보가 아니었다. 기타 비용을 제외한 물건값만 보상해줬었는데, 그마저도 격추 확정이 되야 받을 수 있어서 받는데 굉장히 오래 걸렸다. (또한 물건값의 일부만 보상해주는 업체도 본적 있다)

물론 200위안 들여서 1000위안을 받았으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소모된 전액을 보장 받는 줄 알았던 친구 입장에서는 굉장히 찝찝했다고 한다. 


격추율을 넉넉잡아 5%라고 보면, 제품가의 20~30%에 해당하는 보험료를 내고 구지 통보를 꼭 해야하는지.. 가 의문이다. 

샤땡 브랜드도 격추글도 타 브랜드에 비해 자주 보이고 더 잘 잡는다~ 카더라 라는 말은 있지만 나도 주변사람들도 통보 없이 잘만 받았다. 나와 내 주변인의 극히 일부의 통계로 일반화 하려는 의도는 없고 정말 특정 브랜드가 더 잘 걸리는지조차도 의문이다. 

물론 내 주변에도 보험이란 보험은 다 들고 심신의 평화를 얻고 만족하는 사람들이 있으니 맞다 틀리다의 개념이 아닌 

온전히 개인의 선택의 문제라고 본다. 



관련자료

가즈아님의 댓글

가즈아
작성일
배대지 회사에서 단속기간 공지해주면 그때만 조심하면 뭐

엣지있게살자님의 댓글의 댓글

엣지있게살자
작성일

카카로트님의 댓글

카카로트
작성일
옛날이나 지금이나 격추비율은 대동소이 한거같은데 옛날에는 통보서비스 없이도 직구 잘만 했었드랬죠
그냥 크게 의미 없는 중간유통이 한번 더 끼는 느낌적인 느낌이랄까

별곰잉님의 댓글

별곰잉
작성일
가방 주문하실때 로고작업 해서 받으시나요? 저는 첫 주문에 격추당했어요ㅠㅠㅠㅠㅠ

광안리밍밍님의 댓글의 댓글

광안리밍밍
작성일
국셀통해서 구매하신거에요??ㅠㅠ

아이잉님의 댓글

아이잉
작성일
주문하시는 상품에 따라 다른 것 같아요 ㅎㅎ
아무래도 신발은 쉬우니... 가방 같은 경우엔 하는게 맞는것 같아요.
말씀하신대로 통보 보상비는 좀 웃긴 것 같아요..
기존에 따로 통보보상룰이 어떤기 공지도 안하고 금액만 안내하고 하니까..
소비자는 다 보상되는줄 알았는데 나중에 보면 차떼어내고 포 떼어내고 그니까요

동그라미다음세모님의 댓글

동그라미다음세모
작성일
가방주문할때 꿀팁좀 알려주세요ㅠㅠ 샤x구매준비중인데....

hshshshs님의 댓글

hshshshs
작성일
롤렉스는 격추 잘되나요?

레플인데요호호라라님의 댓글

레플인데요호호라라
작성일
원래 상남자는 보험 안듭니다